1990년대 초반, 대한민국 가요계에 힙합과 스트리트 문화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며 시대를 앞서갔던 그룹이 있다. 바로 이현도와 김성재로 구성된 전설의 듀오, 듀스(DEUX)다. 이들은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한국 대중음악사의 흐름을 바꿨고, 지금까지도 수많은 뮤지션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듀스의 데뷔 배경, 방송 활동, 그리고 주요 수상 이력을 중심으로 듀스의 음악 여정을 정리해본다.
듀스의 데뷔
듀스는 1993년, 이현도와 김성재가 결성한 2인조 남성 힙합 그룹으로, 당시로선 보기 드물었던 흑인음악 기반의 음악 스타일을 국내에 본격적으로 선보였다. 이현도는 서울예술대학교 실용음악과 출신으로 작곡 및 프로듀싱 능력을 갖춘 뮤지션이었고, 김성재는 특유의 무대 감각과 개성 있는 스타일로 주목을 받았다. 두 사람은 ‘현진영과 와와’의 백업 댄서로 활동하던 중 음악적 지향점이 맞아 팀을 결성했고, 팀명은 프랑스어로 ‘둘’을 뜻하는 ‘DEUX’에서 가져왔다. 듀스는 1993년 1집 《Deux》를 통해 정식 데뷔했으며, 타이틀곡 ‘나를 돌아봐’는 당시 대중에게 생소했던 뉴잭스윙 리듬과 퍼포먼스 중심의 안무를 접목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 곡은 기존 가요계에서 보기 힘들었던 흑인음악 스타일의 프로덕션과 랩, 보컬 조합이 특징으로, 이후 많은 가수들이 이들을 모방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데뷔 앨범은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2집 《Deuxism》(1994), 3집 《Force Deux》(1995)를 연이어 발매하며 ‘여름 안에서’, ‘우리는’, ‘굴레를 벗어나’ 등의 명곡을 남겼다. 듀스는 데뷔와 동시에 당대 10대, 20대 청소년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이들의 패션, 헤어스타일, 안무 등은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방송 활동
듀스는 음악 방송 무대에서의 활동을 통해 힙합 장르를 국내 대중들에게 본격적으로 알린 주역이었다. MBC 《인기가요 BEST50》, KBS 《가요톱10》, SBS 《생방송 TV가요20》 등 당시 주요 음악 프로그램에서 활발히 활동했으며, 무대에서는 기존 아이돌 그룹과 차별화된 라이브 퍼포먼스와 랩을 선보이며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여름 안에서’ 무대는 지금까지도 대표적인 레전드 무대로 꼽히며, 이후 수많은 후배 가수들이 리메이크하거나 오마주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듀스는 당시 기준으로 이례적으로 방송 퍼포먼스에 직접 개입하고 디렉팅을 하는 그룹이었다. 무대의 조명, 안무 구성, 백업 댄서 선택 등에 있어 이현도가 직접 콘셉트를 제안하는 경우가 많았고, 김성재는 의상과 스타일링에 있어서 독창적인 시도를 선보였다. 듀스의 음악은 단순히 방송용 음악을 넘어, 공연 중심의 아티스트적 정체성을 강화한 사례로도 평가된다.
이들은 음악뿐 아니라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활약했다. MBC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 SBS 《기쁜 우리 토요일》 등에서도 자주 모습을 드러내며 인간적인 매력과 유쾌한 성격으로 팬층을 더욱 확대했다. 듀스의 방송 활동은 단순한 출연을 넘어 힙합과 스트리트 문화가 대중과 만날 수 있는 통로가 되었고, 이는 한국 힙합의 대중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다만 1995년 듀스는 3집 활동을 끝으로 공식 해체했고, 김성재는 곧이어 솔로 활동을 시작했으나 데뷔 직후 갑작스럽게 사망해 안타까움을 남겼다.
수상이력
듀스는 데뷔 직후부터 3년간 방송사 시상식과 음악 차트에서 꾸준히 높은 성과를 기록하며 대세 아티스트로 자리매김했다. 1993년 데뷔 해에는 KBS 《가요대상》에서 남자 신인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MBC 《10대 가수가요제》에서 본상을 수상했다. SBS에서는 《서울가요대상》에서 인기상과 본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이처럼 첫 앨범 활동만으로도 음악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1994년에는 2집 《Deuxism》의 타이틀곡 ‘우리는’과 ‘여름 안에서’가 연이어 히트하면서, KBS와 SBS, MBC 등 3대 방송사의 주요 가요 프로그램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음악 프로그램 연말 결산에서도 다수의 상을 받았다. 또한 그 해 KMTV와 한국연예인협회 주최의 시상식에서도 듀스는 청소년 인기상, 올해의 그룹상 등을 수상하였다. 듀스의 음악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서 ‘장르를 대중화시킨 선구자’라는 평가를 받으며, 업계 관계자들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5년 듀스 해체 이후에는 김성재가 솔로 데뷔곡 ‘말하자면’으로 각종 음악 차트 1위를 석권했으며, SBS 《인기가요》, MBC 《쇼 음악중심》 등에서 3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또한, 신인상과 남자 솔로 부문 본상을 수상하며 솔로 아티스트로서도 인정받았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은 대중에게 큰 충격을 안겼고, 이후 듀스의 음악과 수상 이력은 추억이자 전설로 회자되었다. 듀스는 활동 기간이 짧았음에도 불구하고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이자, 수많은 후배 아티스트들이 존경하는 뮤지션으로 남게 되었다. 듀스는 단순한 90년대 아이콘이 아니라, 한국 대중음악의 판도를 바꾼 혁신적 존재였다. 데뷔부터 해체까지의 짧은 시간 동안 이룬 성과와 무대 위의 스타일, 방송 활동, 수상 이력 모두가 듀스의 시대정신을 대변한다. 오늘날에도 그들의 음악과 무대는 여전히 재조명되고 있으며, 후배 아티스트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고 있다. 레전드의 이름에 걸맞은 그들의 기록을 통해, 한국 음악 문화의 깊이를 다시 한 번 느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