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혼성그룹 열풍의 중심에 있었던 영턱스클럽은 독특한 콘셉트와 중독성 강한 음악으로 대중의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많은 이들의 추억 속에 남아 있는 그들의 활동 히스토리와 현재 콘서트 근황을 통해 레트로 열풍의 흐름을 짚어보겠습니다.
영턱스클럽의 등장
영턱스클럽은 1996년 여름, 혼성 5인조 그룹으로 화려하게 데뷔했습니다. 당시 ‘영턱스(Young Turks)’는 젊은 패기와 도전정신을 상징하는 이름으로, ‘클럽’이라는 단어를 결합해 젊은 세대의 문화를 대변한다는 콘셉트였습니다. 데뷔곡 ‘정(情)’은 전통적인 한국 정서를 트렌디한 댄스 음악에 녹여낸 파격적인 시도였으며, 그 결과 음원 차트 상위권에 오르며 대중의 관심을 한몸에 받게 됩니다. 이후 발표된 ‘훔쳐보기’, ‘질투’ 등도 잇따라 히트하면서 영턱스클럽은 90년대 혼성그룹 붐의 선두주자로 자리잡습니다. 당시 이들과 함께 활동했던 혼성 그룹에는 룰라, 샵, 쿨 등이 있었지만, 영턱스클럽은 다른 그룹과 달리 보다 직설적이고 강렬한 이미지와 메시지를 담은 곡으로 차별화를 꾀했습니다. 특히 남성 멤버들의 랩과 여성 멤버들의 감성적인 보컬 조화는 당시 대중음악 시장에서 매우 신선한 구성으로 평가받았습니다. 1996년과 1997년 KBS 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MBC 10대 가수상 등 주요 시상식을 휩쓸며 빠르게 입지를 다졌고, ‘젊음과 반항의 상징’이라는 슬로건은 당시 청소년 사이에서 하나의 문화 코드로 작용했습니다. TV 가요 프로그램은 물론 전국 행사 무대, 라디오, 예능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1세대 아이돌의 저력을 보여주었습니다.
활동 히스토리
영턱스클럽은 초기 5인조로 출발했으나, 1997년 이후 멤버 교체가 시작되며 팀의 형태와 색깔이 변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초기 멤버는 임성은, 최승민, 한현남, 이상미, 송진아로 구성되었으나, 데뷔 2년 차인 1997년 임성은이 솔로 활동을 위해 팀을 떠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합니다. 이후 박성현, 유진, 정혜영 등 다양한 멤버들이 합류하거나 탈퇴하며 팀 구성은 유동적으로 바뀌었고, 총 10명 이상의 멤버들이 영턱스클럽의 이름으로 활동한 바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부터 활동이 주춤하면서 팀은 자연스럽게 해체 수순을 밟았지만, 그들의 음악은 계속해서 방송 및 라디오를 통해 회자되었습니다. 2005년에는 ‘정 2005’라는 이름으로 리메이크 앨범이 발매되기도 했고, 2012년과 2016년에는 과거 멤버 일부가 다시 모여 복고 공연과 방송 무대에 오르며 꾸준히 존재감을 유지했습니다. 가장 큰 전환점 중 하나는 2014년 MBC 예능 ‘무한도전 –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토가)’ 이후였습니다. 당시 90년대 레전드 가수들이 대거 재조명되면서 영턱스클럽 역시 그 열풍의 중심에 서게 되었고, 이후 '슈가맨', '놀면 뭐하니' 등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멤버들이 회자되며 다시금 대중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현재까지도 영턱스클럽은 공식 해체 없이 간헐적으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원년 멤버였던 이상미는 방송 활동과 개인 유튜브 채널 운영 등을 통해 팬들과 활발히 소통 중입니다. 이처럼 끊임없이 멤버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팀을 지켜가는 모습은 영턱스클럽만의 특별한 정체성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콘서트 활동
2020년 이후 레트로 문화가 다시 유행하면서 영턱스클럽은 다양한 복고 콘서트와 페스티벌 무대에 초청되며 본격적인 무대 복귀를 시작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2023년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90’s 레전드 콘서트’에서 영턱스클럽은 ‘정’, ‘훔쳐보기’, ‘질투’를 연달아 부르며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습니다. 특히 관객 중에는 30~50대 팬들뿐 아니라 20대 관람객들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는 부모 세대의 추억을 함께 공유하려는 젊은 세대의 관심도 반영된 결과였습니다. 또한, 이들은 전국을 순회하는 복고 콘서트 투어에도 참여해 대구, 부산, 광주, 인천 등 주요 도시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대부분 티켓 매진 사례를 기록하며 저력을 입증했습니다. 공연 구성도 단순히 노래를 부르는 데 그치지 않고, 팬들과의 Q&A 시간, 댄스 리메이크 퍼포먼스, 무대 뒷이야기 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객과의 소통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원년 멤버 이상미와 최승민은 무대에서 “팬들과의 추억을 함께 완성해 나가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밝히며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였고, 공연 후 팬들과 직접 사진을 찍는 등 소통 행보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SNS와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공연 영상들은 젊은 층에게 신선한 콘텐츠로 소비되며 새로운 팬층 유입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최근 콘서트 활동은 단순한 과거의 회상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를 잇는 하나의 문화 이벤트로 평가받고 있으며, 영턱스클럽은 여전히 무대 위에서 ‘현재형 아이콘’으로 살아 숨 쉬고 있습니다.
영턱스클럽은 단순한 90년대 혼성그룹을 넘어, 하나의 문화적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시대는 변했지만, 그들의 음악과 무대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주고 있죠.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그들의 무대는 세대를 이어주는 소중한 문화 자산입니다. 레트로 열풍이 지속되는 한, 영턱스클럽의 이름은 오랫동안 사람들 기억 속에 남을 것입니다. 지금이 바로 그들의 무대를 다시 찾아볼 때입니다.